비즈 중국, 미국 트럼프 관세 회피를 위해 베트남 경유 수출? 베트남에는 어떤 영향?
전문가들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부과를 회피하기 위해 베트남산 라벨을 부착하기 시작한다면 베트남이 부수적인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베트남 경제학자 Vu Dinh Anh는 세계 양대 경제 대국간의 무역전쟁 속에서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 장벽을 회피하기 위해 베트남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을 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으로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베트남으로 수출한 후 베트남 기업들에게 “Made in Vietnam” 라벨을 부착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중국 업체들이 직접 베트남에 공장을 설립한 후 중국에서 부품을 수입해 완제품을 베트남 현지에서 생산해 미국 등지로 수출하는 방법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상황은 자칫 미국이 중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에도 동일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도있다.”고 전문가는 언급했다. 특히, 베트남 섬유 및 신발 업계 관계자들의 우려가 깊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제품의 원산지를 추적해 위반 행위에 대한 엄벌함으로써 이 상황을 통제할 것을 제안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관련 산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국내 전문가들은 뉴스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공장을 세우려고 계획한다면 약 20만불 이하의 저가로 공장을 세우고 제품을 중간 경유하여 수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강력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는 섬유 및 냉연강판 등과 관련된 중간재에 대한 관리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베트남의 기회
한편,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베트남산 소비재의 미국 수출이 가능해졌다. 베트남 투자개발은행(BIDV)의 수석 경제학자는 “새로운 관세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될 중국 상품은 약 27% 수준이 소비재로 예상되며, 베트남에서는 이와 유사한 소비재들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양국의 무역전쟁이 악화됨에 따라 베트남의 소비재 수출업자들은 미국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구체적으로 “중국 위안화가 미국 달러에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 기업을은 의류, 가죽 그리고 다른 재료들을 더 싸게 수입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따라 미국에 더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날 것이다."고 보고서에서 언급했다.
무역전쟁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제품으로는 목제가구류, 전자제품, 스포츠 장비, 장난감 등을 선택햇다. 또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미국의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지를 이동하는 외국계 업체들의 이동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vnexpress >> vinatimes : 2018-09-24
- 베트남 원산지 관리 강화.., 수만 대 수출용 전기자전거 생산에 고작 35명? 2020-01-04
- 관세청: ‘아산조는 베트남산 아니다’ 결론.., 베트남 원산지 관리 강화로 확산 조짐 2019-10-28
- 베트남 외국인 직접 투자 1위 중국.., 중국계 제조업체의 생산지 이전 가속화? 2019-04-03
- 베트남, 외국인 투자 유입에 최적화된 새로운 정책 필요 2018-10-03
- 무역전쟁에 생산라인 동남아로 이전 고민하는 기업 늘어 20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