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의견을 제시합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비즈 베트남 물류산업 성장 기회 도래…, 전자상거래·제조업 활성화 등 영향

비나타임즈™
0 0
베트남에서 전자 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물류 산업이 성장하면서 물류용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제한된 토지 공급으로 베트남은 물류창고 분야의 새로운 동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세빌스 베트남 (Savills Vietnam) 하노이 지사장이 언급했다.

istock-1179825208(1).jpg
[참고사진 출처: Savills Vietnam 홈페이지]

베트남의 물류창고 (Logistics) 부문은 국가 경제, 제조업 및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인해 상당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물류회사인 어질리티(Agility)가 최근 발표한 신흥 시장 물류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신흥시장 물류 지표 톱50 중 11위로 나타나 인근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운송 및 물류 시장은 지난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약 7% 이상의 복합연간성장률(CAGR)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제조업 활성화 및 국내 경제, 제조업 및 소비 성장과 특히 전자상거래 붐 등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현재 많은 물류 기업들은 합당한 물류 창고 소재지를 찾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단지와 물류창고 특히, 하노이시와 같은 대도시 주변은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약 100%을 넘는 지역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에서 실제 산업용 부동산 공급 상황은 기업들의 실질적인 개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베트남 물류 산업은 대부분의 참여자가 부가가치가 낮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기업으로 여전히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약 3,000개의 물류창고 운영 회사 중 약 90%는 44만 달러 미만의 자본금으로 등록되어 있고, 약 5%는 44만 달러에서 88만 달러 그리고 나머지 5%는 88만 달러 이상의 자본금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국내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지만, 외국계 물류 기업이 매출의 약 75%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빌스 베트남 (Savills Vietnam) 전문가는 베트남은 물류 산업을 발전시키고 지역의 물류센터로 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 정책 및 인프라는 베트남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지방에서 첨단 기술 및 청정 산업 투자 유치를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지만,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비나타임즈: 2022-09-26
공유스크랩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