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국신문 베트남의 한국기업

비나타임즈™
0 0

베트남은 우리와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다. 반도국가라는 지정학적 위치나 외세의 침탈로 오랜 식민지 시절을 겪었고, 분단의 아픈 역사를 갖고 있는 점이 그렇다. 어순은 우리와 다르지만 대부분의 단어를 한자로 표기할 수 있는 언어적 유사점도 있다. 유교문화 전통이 강해 효를 중시하고 비중화권에서 공자를 모신 문묘(文廟)가 있는 나라는 한국과 베트남뿐이다. 


수년 만에 다시 찾은 수도 하노이에서 몇 가지 달라진 점이 눈에 띄었다. 스카이라인이 몰라보게 높아졌고, 한국인의 어깨를 으쓱하게 하던 ‘한글버스’를 보기 어려웠다. 베트남 경제가 지난 10여년간 연평균 7% 성장한 결과다. 그러나 하노이를 벗어나면 사정이 달라진다. 채 200㎞도 안 되는 거리를 자동차로 3∼4시간 가야 하는 도로 사정 등 사회 인프라는 열악했다.


 최근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활발하다. 우리나라는 일본에 이은 두 번째 투자국이고, 현지 한국 기업이 베트남 수출의 20%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여러 악조건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한국 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구숙련공난’이다. 베트남에는 마이스터고 같은 기술계 고등학교가 없다. 아직도 사농공상(士農工商) 인식이 뿌리 깊어 대학진학률은 25% 안팎에 불과한데 모든 고교가 인문계다. 사정이 이러니 숙련된 노동자를 구하기 어렵고, 인문계고 졸업생 기술교육에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하노이 인근 삼성전자 박닌성(省) 공장의 경우 베트남인 직원의 95% 이상이 북부 출신이다. 지역감정이 심해 옛 남북 베트남을 경계로 왕래가 거의 없어서다. 북부에 자리한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은 현지인을 고용할 때 북위 17도 이남 지역에는 공고를 따로 내지 않는단다. 뽑아봐야 텃세 때문에 오래 견디지 못한다고 한다.


 한국 기업이 극복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는 높은 이직률이다.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교육을 시켜놓으면 회사를 떠나는 노동자가 많다고 한다. 삼성전자 박닌성 공장만 해도 이직률이 40∼50%에 이른다. 특히 명절이 지나면 출근하지 않는 노동자들이 급증해 공장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소연이다. 생산성도 한국 공장의 86% 수준이다. 그럼에도 한국 기업이 베트남을 찾는 까닭은 우리의 10%밖에 안 되는 값싼 노동력 에 있다. 현지에 진출한 한 중소기업인은 “한국에는 제조업의 미래가 없다”고 단언했다.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애국 차원이 아닌 경제적 측면에서 판단해 달라는 주문이다.




쿠키뉴스 : 2014-07-17


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