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 중국 정부 "남중국해서 1천만t급 유전 개발"
해양유전 개발 가속…영유권 갈등도 고조 가능성
중국이 앞으로 자주적 에너지 공급 능력을 높이기 위해 남중국해(남해) 등 주변 해양지역에서의 석유·가스 탐사프로젝트를 더욱 가속하기로 했다. 중국 국무원은 최근 공개한 '에너지 발전전략 행동계획(2014∼2020)에 관한 통지'에서 앞으로 국내 석유생산량을 점진적으로 높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고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이 20일 보도했다.
국무원은 이 통지에서 다칭(大慶), 랴오허(遼河), 신장(新疆), 타리무(塔里木), 성리(勝利), 창칭(長慶), 보하이(渤海), 남중국해(南海), 옌창(延長) 등 9개 지역에서 각각 1천만t급 대유전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국무원은 "자주적 개발과 대외합작을 병행하며 보하이, 동해, 남해 등 근해에서의 석유, 가스 탐사개발을 강화해야 한다"며 이 지역에서의 새로운 유전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것임을 시사했다.
국무원은 남중국해 심해지역에서의 석유가스 탐사개발 상황에 대한 추적·분석을 강화하고 심해 탐사와 관련한 대외입찰 및 협력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면서 심해에 대한 석유채취 기술과 장비에 대한 자주적 제조 능력을 조속히 강화해 해양지역에서의 석유·가스 생산량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중국의 이러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일대에 대한 석유·가스 탐사계획은 앞으로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등과의 영유권 갈등을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5월에도 중국이 베트남과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군도(西沙群島), 베트남명 호앙사 군도) 인근 해역에서 원유 시추작업을 강행하고 이에 대해 베트남이 함정 등을 동원해 실력저지에 나서면서 양국간 갈등이 크게 고조됐다.
한편, 국무원은 2020년이 되면 중국의 석탄소비는 62%까지 억제될 것이며 기본적으로 중국내 도시에서는 천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MK증권 : 2014-11-20
- JETRO: 일본기업 1,400여개 베트남 이전.., 미-중 무역분쟁 영향 2020-08-18
- 베트남, 러시아에 1조1천억원 규모 무기 주문 2018-09-09
- 미중, 남중국해 갈등 격화…美장성 경고에 중국 강력 반발 2018-06-02
- 베트남, 중국에 “남중국해 폭격기 이착륙 훈련 중단하라” 2018-05-22
- 中 폭격기, 남중국해 섬 지역 첫 착륙…긴장 고조 우려 2018-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