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국신문 日기업들, 해외 공장은 ‘차이나 + 1’

비나타임즈™
0 0

中 공장 인건비 급증으로 동남아에 `대타` 마련…유니클로 中생산 30%P↓ 

 

일본 기업들이 중국 외 동남아시아 등지에 생산기지를 하나 더 구축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1)'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성장 둔화에 인건비 상승까지 맞물리면서 원가 부담이 커지자 중국 생산을 줄이고 베트남 등 동남아 생산설비를 늘리는 일본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 생산 비중을 크게 줄이고 있는 대표적인 업종은 의류 산업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한때 중국 생산 비중이 90%를 넘었던 유니클로 생산기업 패스트리테일링은 베트남 등 동남아 생산설비를 크게 늘려 중국 생산 비중을 60~70%까지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워크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아다스트리아도 유니클로 전략을 따라가고 있다. 아다스트리아는 앞으로 5년 내에 중국 생산 비중을 현재 90%에서 70% 선으로 낮추기로 했다. 대신 베트남 등 동남아 생산 비중을 10%대에서 30%대로 높일 계획이다. 의류·섬유 기업들이 중국 외 베트남 등지에 생산설비를 추가 구축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날로 높아지는 중국 내 인건비 때문이다.

일본무역진흥기구에 따르면 중국 인건비는 연 10%씩 높아져 근로자 평균 월급이 베이징은 566달러, 상하이는 474달러까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의류 업체들이 차이나 플러스 원의 핵심 기지로 삼고 있는 베트남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국으로 대미 수출에 이점이 있다. 중국 성장 둔화도 일본 기업들의 중국 투자를 줄이는 요인이다. 고베철강은 알루미늄 단조부품의 중국 증산 계획을 연기하고, 대신 미국 공장에 70억엔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80% 상향 조정했다. 스마트폰 부품 관련 정밀가공기계를 생산하는 쓰가미도 중국에서 월 1500대 생산하던 정밀기계 숫자를 최근 300~400대까지 줄였다. 대다수 기업들은 베트남 등 동남아 신흥국이나 새롭게 떠오르는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프런티어 시장을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행선지로 삼고 있다. 아예 일본 내 생산을 늘리는 기업들도 나오고 있다. 일본 내에서 생산하더라도 달러 기준으로 보면 중국과 비교해 인건비 부담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SMBC닛코증권 분석에 따르면 일본의 평균 월급은 2000달러를 넘는다. 단순 비교를 하면 중국 주요 도시보다 높지만 생산성까지 감안한 달러 기준 단위노동원가는 2013년에 중국이 일본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신조 정권 들어 달러당 원화값이 50%가량 절하된 것도 일본 단위노동원가를 떨어뜨린 요인이다. 이 때문에 가정용 에어컨을 생산하는 다이킨공업은 중국 생산 대수를 올해 약 20%, 15만대 줄이는 대신 일본 공장 생산 대수를 20만대 늘려 100만대 수준까지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중국이나 아시아 생산을 늘려왔던 스마트폰 부품 업체 TDK도 "인건비가 더 낮은 곳을 찾는 것보다 일본 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며 국내 생산설비 증설에 나섰다. 

 

 

MK : 2015-12-07

 

 

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