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 中·베트남서 고액 러브콜…짐싸는 엔지니어들
정부가 놓친 조선해운 구조조정 진짜 문제..<4> 인력 유출.
정부가 조선ㆍ해운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했다. 11조원대의 국책은행 자본확충 펀드를 조성해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이로써 구조조정의 큰 틀과 방향은 잡혔다. 하지만 조선ㆍ해운업의 위기를 초래한 '내부의 함정'을 제거하지 않으면 구조조정은 성공할 수 없고 위기는 반복된다. 이에 '제 살 깎기'식의 저가수주, 불리한 계약관행 등 고질적인 병폐를 짚어보고 해결책을 모색해본다.
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에서 18년째 선박 설계를 담당해 온 김모(48)씨는 최근 중국 조선사로 자리를 옮겼다. 두 달 전 희망퇴직을 고민할 무렵 중국 조선사에서 스카우트 제의가 들어와 이직하게 된 것이다. 그는 "구조조정에 대한 압박으로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었다"고 토로했다. 울산에서 근무하는 박모(42)씨는 "지난해에는 사무직 직원들이 대거 나갔다면 올해는 연구개발(R&D)과 기술직까지 전부 퇴직 대상"이라며 "중국뿐 아니라 요즘 뜨고 있는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조선사에서도 국내 엔지니어들에게 고액 연봉을 제시하며 이직 제안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업에 대한 정부의 구조조정 압력이 거세지면서 불안감을 느낀 핵심 설계 인력들이 중국, 베트남 등 해외 조선사로 하나둘 빠져 나가고 있다. 우리 숙련공들의 이탈은 핵심 기술의 해외 유출로 이어질 뿐 아니라 다음 호황기에 중국 조선업에 주도권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국내 조선사 엔지니어들의 중국행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됐다. 중국은 2005년 '중국 교역 물량은 중국 배로 나른다'는 '국수국조(國輸國造)' 정책을 추진하며 한국 설계 인력을 빼가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스카우트 대상이 정년 퇴직자로 한정돼 있었지만, 최근 들어선 현직에서 일하는 현장 인력까지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엔 1만여명의 설계 인력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을 건조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경력 5년 안팎의 20~30대 설계 직원 5000여명이 저부가가치 벌크(화물)선을 주로 생산한다. 이에 중국 조선사들은 국내 핵심 인재들을 호시탐탐 노려 왔고, 국내 조선업의 구조조정이 시작되자 기다렸다는 듯 우리나라 엔지니어들을 대거 흡수하고 있다.중국 등 해외 조선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는 엔지니어들은 고부가가치 LNG선, 1만8000~2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비 효율이 높은 에코십 등에 종사해 온 숙련공들이다. 세계 최소 수준을 자랑하는 국내 조선사의 핵심 인력의 지식과 현장 경험이 그대로 중국으로 이전되고 있는 것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국내 조선사에서 정년 퇴직한 분들이 중국 조선사로 옮겨가는 정도였는데, 최근 구조조정이 시작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며 "조선 3사가 인력 감축을 시작하고, STX조선해양처럼 중소 조선사들까지 쓰러지면서 대규모 엔지니어 유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구조조정에서 핵심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유출을 막지 못하면 다음 호황기에 중국 조선업에 주도권을 빼앗기는 것은 물론 일본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1970년대 세계 조선시장을 주도하던 일본은 1980년대 정부 주도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하면서 핵심 인력들을 내보냈다. 퇴출당한 일본 엔지니어들을 흡수한 우리나라 조선업은 1990년대 호황기를 맞아 일본을 제치고 시장 주도권을 거머쥐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선박의 경우 여전히 한국이 중국보다 한 수 위지만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며 "인력과 기술 유출에 따른 영향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구조조정은 산업 재도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면서 "다만 경기가 회복된 후 수요에 대응해야 할 잠재력까지 훼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시아경제 : 2016-06-14
- [긴급진단]한국 떠나면 첨단기술 유출 우려도 커진다 201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