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한국신문 미·중, 남중국해 수중서도 치열한 잠수함전…중, 핵잠 배치

비나타임즈™
0 0

하이난도·인공섬서 활동, "미해군 활동에 큰 위협"
미, LA급 핵잠 4척, 수중드론, 항공기 투하폭탄 등으로 대응

 

남중국해 해저 주도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간의 잠수함 경쟁이 치열하다.

 

BBC 방송,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 등 외신은 중국이 남중국해 환초, 인공섬 등 수면 위 통제권뿐만 아니라 해저 통제권도 확보한다는 목표에 따라 이 해역 주변의 잠수함 전력도 대폭 강화하고 있다고 11일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2014년부터 하이난다오(海南島) 산야(三亞)의 잠수함 기지에 094형 진(晉)급 탄도미사일 발사 핵잠수함(SSBN)을 배치한 것으로 미국방부는 밝혔다.

 

이 잠수함 탑재 미사일 사거리는 7천400㎞로 캘리포니아 등 웬만한 미 서해안 지역이 타격권 내에 포함된다. 일본 인근 해역에서는 알래스카를, 하와이 동쪽에서는 미국 전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 미 국방정보국(DIA)의 설명이다.

 

특히 이 잠수함은 메가톤급 다탄두로 된 '쥐랑-2'(巨浪, JL-2) 탄도 미사일 12발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이 실전 배치한 진급 핵잠수함 4척 가운데 한 척을 중국해에 포진시켰다는 것은 남중국해 영유권 확보에 얼마나 부심하는 것인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현재 5번째 진급 핵잠수함을 건조 중인 것과 별로도 중국은 이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3세대 096형 탕(唐)형 SSBN을 개발 중이다.

 

AKR20160711148500009_01_i.jpg

기지에서 훈련 중인 중국 해군 핵잠수함 승조원들[AP=연합뉴스 자료 사진]

 

096형은 사거리 1만㎞ 이상으로 35만t급 핵탄두 5∼7개를 탑재하는 탄도미사일을 여러 발 적재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096형으로는 태평양 심해로 항진하지 않고서도 남중국해에서 미 본토를 쉽게 공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핵잠수함은 소음이 많이 줄어들어 은밀성이 개선된 데다 공기 불요 추진체계(AIP)를 갖춰 수중작전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은 또 남중국해저에 수중음파감청시스템을 개선한 센서를 설치해 이를 함정과 연결하는 '수중 만리장성' 구축 구상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영국 군사 전문지 IHS 제인스 디펜스가 보도했다.

 

이것이 현실화하면 중국은 남중국해의 인공섬 조성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장악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됐다.

 

잠수함 전문가인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의 콜린 코 스위 린 연구원은 "산야로부터 1천㎞ 떨어진 남중국해의 피어리 크로스 암초(융수자오<永暑礁>)에 새로 건설된 심해항만 시설 덕택에 중국 잠수함은 모기지로 귀환하지 않고서도 오랫동안 작전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이에 따라 중국 잠수함들은 남중국해에서 미 해군의 움직임을 예전보다는 훨씬 나은 위치에서 감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미국도 52척의 핵잠수함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로스앤젤레스급 4척을 배치해 작전을 수행 중이다. 괌을 모기지로 하는 이들 잠수함은 남중국해에 대한 정기적인 순찰을 통해 중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왔다. 미국은 또 오는 2025년까지 버지니아급과 오하이오 급 핵잠수함 성능을 개선하기로 했다.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은 지난 4월 뉴욕에서 한 연설에서 미국이 신형 무인 수중드론(UUVs)의 배치를 포함한 수중전력 확충에 모두 80억 달러(9조1천8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AKR20160711148500009_02_i.jpg

항해 중인 미해군의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미해군 제공]

 

미국은 또 항공기를 통한 원거리 투하용 신형 기뢰의 배치를 서두르고 있다. 고도 3만5천 피트(1만 668m)에서 시험 투하된 '수중 스마트 폭탄'인 이 기뢰는 40마일(64㎞)이나 활강 비행하고 나서 입수해 2천 파운드(970㎏)의 폭발력을 과시했다. 미국은 특히 베트남에 대한 살상무기 수출금지 조치를 40년 만에 해제한 것을 계기로 남중국해에 면한 베트남 중북부의 깜라인만 이용 가능성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깜라인만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도서인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 베트남명 호앙사 군도),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 베트남명 쯔엉사 군도)와 가까운 군사적 요충지로 항공모함, 잠수함 등도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수심이 깊다.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첨예한 갈등을 빚어온 베트남 역시 중국 잠수함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P-3C와 P-8A 대잠초계기를 미국으로부터 도입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미국은 일본이 운영해온 같은 종류의 미제 대잠초계기를 베트남에 공급함으로써 중국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피하는 우회전략을 구사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호주 시드니대학 미국연구소의 애슐리 타운센드 연구원은 "탐지만 되지 않는다면 남중국해에서의 중국 공격잠수함은 같은 해역에서 활동하는 미 해군 함정에는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 해군대학의 요시하라 도시 교수도 미국이 여전히 잠수함 전력에서는 우위를 갖고 있지만, 앞으로 이를 지속하려면 꾸준한 투자를 통해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 2016-07-11

 

공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