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 베트남 진출 기업 경영 성과 저조, FTA 최대한 이용해야
베트남 시장에서 국내 투자진출기업의 경영성과가 저조하고 부가가치 창출 비중도 다소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코트라는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가치사슬 활용과 과제: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심층보고서를 발간하고 한국 무역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중간재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수출 총액 면에서는 베트남이 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부가가치 면에서는 개선할 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수출품 중 한국에서 부가가치가 발생한 비율은 55.4%로 우리나라 평균인 58.8%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베트남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들이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 수입된 후 재수출돼 부가가치측면에서는 우리나라가 그 과실을 취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설명이다. 이는 베트남 수출 1위 상품인 전기·전자도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출 비중이 58.3%로 전체 평균보다 낮아 예외가 아니라고 코트라 측은 설명했다.
투자규모에 비해 국내 투자진출기업의 경영성과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직접투자는 2003년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15년 150억 달러에 달해 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우리 진출기업의 경영성과는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 각각 2.3%와 0.6%로 아시아 진출기업의 평균인 3.4% 및 2.6%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코트라는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수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입중간재보다는 고부가가치 국내생산 중간재의 비율을 높일 것 △저가 베트남 현지시장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선진국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제3국 수출을 확대할 것 △한-베 FTA의 이점을 최대한 이용할 뿐만 아니라, 메가 FTA 시대를 맞아 조달처 다변화와 공격적인 판매 전략을 수립할 것 등을 제안했다.
최윤정 코트라 글로벌전략지원단 전문위원은 “그동안 우리 수출에서 베트남에 대해 막연한 기대와 접근방법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무역액·투자규모 등 총량 관점만이 아니라, 글로벌 가치사슬과 메가 FTA 등 글로벌 관점에서 베트남과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내실 있는 전략을 짜야 할 때”라고 밝혔다.
아시아투데이 : 2016-07-20
- 베트남, 전세계 60개국과 FTA 체결.., 시장 개방성 확장 2020-01-10
- 코트라, 베트남 투자 한국기업의 약 93%가 ‘만족’ 2019-12-19
- [베트남 인사이드]베트남 정책은 삼성전자에 물어보라고? 2019-08-22
- [박동휘의 베트남은 지금] 베트남이 ‘성공 특급 열차’란 착각 2019-08-19
- 베트남,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원산지 증명 관련 시행령 발행 201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