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 정부, 삼성 베트남공장 U턴 타진…“어렵다” 결론
비나타임즈™
0 3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부 실무진 삼성전자 베트남공장방문
-국내 복귀 의사타진했다 어렵다 결론 …국내생산비중 확대유도키로
-제조업공동화 ·일자리이탈 막기위한 다각적 모색 풀이
-삼성전자, 베트남 넘버원 외국인투자기업 …10만명 고용에 추가 투자예정
-현 기업환경 개선되지 않고 파격적 혜택없인 대기업 유턴 불가능
문재인 정부가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삼성전자의 생산시설을 한국으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했다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일자리 창출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문 정부가 해외 진출 기업의 리쇼어링(Re-shoring)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을 염두에 뒀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제조업계는 규제는 넘치고 유인책이 없는 상황에서 '제조업 공동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베트남상무관과 서기관급 등 정부 당국자들은 지난 7월26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위치한 삼성전자 휴대전화 제조공장을 방문했다. 삼성전자 생산시설의 국내 복귀 가능성과 미래 신규투자의 국내유입 등을 모색하기 위한 출장이었다. 하지만 당국자들은 삼성전자 측으로부터 베트남 사업현황의 설명을 들은 뒤 "베트남 제조기지의 국내 복귀는 현실적으로 곤란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그들은 "국내 생산비중의 단계적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선에서 의견을 조율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측은 "현재 휴대전화 제조공정에 약 10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나 이 중 약 75%가 고졸 여성이고 임금은 국내 생산직의 8분의 1에 불과하다"며 베트남 생산시설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해외 이전에 따른 기술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구미사업장은 제조의 컨트롤타워인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이며 베트남공장은 주문자생산(OEM)제품 조립공장으로 역할분담이 이뤄지고 있다"며 "핵심기술은 유출 우려로 (베트남 공장에) 절대 전수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현지 연구개발도 "동남아 지역 특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주력하는 것"이라며 이해를 구했다.
업계는 삼성전자의 베트남 내 위상과 투자계획 등을 고려하면 국내 유턴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0)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삼성은 지금까지 베트남에 200억달러가량을 투자한 베트남 내 최대 외국인 투자기업이다. 여기에 연구개발센터와 소비자가전복합단지 건립 등에 추가로 2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복합단지에는 TV를 비롯해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등 주요 가전제품의 생산시설이 들어선다.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의 일부 생산라인도 들어선다. 채용 규모도 베트남 진출 기업 가운데 단연 최고다. 휴대전화 제조공장에서만 10만명을,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기, 삼성 SDI등을 포함하면 14만명을 채용하고 있으며 조만간 15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계열사들은 올해 베트남에서만 매출 600억달러(67조원), 수출 500억달러(56조원)를 예상한다. 전년 대비 매출은 33%, 수출은 25% 각각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삼성 계열 베트남법인의 수출액은 베트남 전체의 23%를 차지했다.
재계는 정부가 제조업 공동화를 막기 위해 해외진출 기업의 리쇼어링을 유도하고 있지만 현재의 법ㆍ제도와 기업환경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재계 관계자는 "세계적인 분업체제 속에서 대기업이 아닌 중견기업조차도 해외현지 사업장의 역할과 분업체제가 고정돼 있다"면서 "미국, 독일, 일본, 영국 등과 같은 파격적인 세제ㆍ행정적 지원이 없이 해외진출 사업장을 무턱대고 국내로 재유치하기는 어렵다"고 난색을 표했다.
아시아경제 : 2017-09-11
# 관련 이슈 & 정보
- 베트남, 대형 제조업 투자에 법인세 파격 감면 2013-12-16
- MADE IN KOREA 연쇄실종…전자제조업 무너진다. 201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