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 베트남 정부 인구정책 자문관 활동한 조영태 서울대 교수
비나타임즈™
0 1
글로벌 인재포럼 in 베트남
12월14~15일 하노이
"베트남은 아시아 최고 기회의 땅"
베트남 인구 1억명 육박… 중위연령은 29세 불과
고교 진학률 90% 넘어… 1990년대 초반 한국 같아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대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한 지 벌써 4~5년이 됐고, 이제는 중소기업과 개인의 베트남 진출 및 투자도 증가 추세에 있다. 최근 다양한 이유로 중국에서의 기업환경이 예전만 못해지면서 베트남을 중국의 대안으로 여기는 분위기도 고조되고 있다. 정말 베트남은 기회의 땅이 맞는가?
인구 변동과 경제 환경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필자는 2년 전 서울대로부터 베트남 정부 인구 및 가족계획국에 파견돼 1년간 베트남 정부에서 자문관으로 활동했다. 귀국 뒤에도 베트남 정부의 인구정책 자문관으로 활동 중이다. 그러다보니 베트남 정부에서 관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이 나라가 지닌 다양한 특성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 특히 인구학적 지식을 활용해 베트남의 성장가능성을 연구한 것은 특별한 기회였다.
인구학적 관점에서 베트남이 과연 기회의 땅이 맞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은 ‘그렇다’이다. 개발도상국에서 국가가 성장하는 데 사람은 적은 것보다 많은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사람의 수는 성장을 위한 조건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그 외에 중요한 조건들은 주된 생산 가능한 연령대인 20~40대 인구가 얼마나 큰지 여부와 함께 그들의 교육수준으로 측정한 인구의 자질이다.
여기에 교육수준의 증가 속도가 빠를수록 가파른 경제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한국이 과거 성장하는 과정에서 어떤 인구 특성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와 중국 그리고 인도네시아를 포함하는 아시아 19개 나라를 비교해 분석한 결과 최근 위 조건들에 가장 부합하는 나라가 베트남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과 관련이 있을 베트남 인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인구 크기다. 최근 센서스에서 인구의 총수는 약 92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년 태어나는 신생아 수도 약 150만 명이나 된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는 매년 약 90만~100만 명이 태어났었다. 지금은 신생아 수가 40만 명도 채 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을 0세부터 100세까지 한 줄로 세워 놓고 정가운데를 나눌 때의 연령을 의미하는 중위연령이 베트남은 29세에 불과하다. 한국이 한창 발전에 속도를 높일 때인 1990년대 중반과 같다.
물론 고령인구가 없는 것도 아니다.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7%를 넘어 인구고령화 단계에 들어섰다. 한국의 2000년과 같다. 하지만 인구고령화 속도가 한국처럼 빠르진 않다. 기대수명도 높은 편이다.
현재 남자는 약 71세, 여자는 약 76세인데 이는 우리의 1990년대 초·중반 모습이다. 학력 역시 매우 높아 최근 고등학교 진학률은 90%를 넘었고, 대학 진학률은 도시에서 40%를 넘어섰다. 이런 인구 특성에 더해 높지 않은 인건비 수준까지 고려하면 베트남은 생산은 물론 소비에서도 그 어떤 국가에 비해 매력적 투자처임에 틀림없다.
그렇다고 묻지마식의 투자는 곤란하다. 이런 인구 특성을 고려한 치밀한 사전 조사가 필수적이다.
한국경제 : 2017-12-13
# 관련 이슈 & 정보
- 외국계 직업 훈련 교육 시설 설립에 관한 시행령 공포 2019-02-20
- 호찌민市, 베트남어 공부에 최적 4대 ‘베트남어 학원’ 2017-05-22
- 뜨거워진 ‘교육 한류’…베트남 학생들, 한국식 수능 본다 2017-04-19
- 2030년까지 하노이 수도권 건설 계획.., 3개 省 추가로 확대 2016-08-16
- 베트남 “영어 능력” 부족한 나라 중 하나 2015-01-15